02-1 자료형과 문자열
문자열 만들기
- 큰따옴표로 문자열 만들기
- 작은따옴표로 문자열 만들기
- 문자열 내부에 따옴표 넣기
-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해 문자열 만들기
- 여러 줄 문자열 만들기
- 줄바꿈 없이 문자열 만들기
문자열 연산자
- 문자열 연결 연산자:+
- 문자열 반복 연산자:*
- 문자 선택 연산산(인덱싱):[], 제로 인덱스(zero index), 원 인덱스(one index)
-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(슬라이싱):[:]
- IndexError(index out of range) 예외
문자열의 길이 구하기
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때는 len() 함수를 사용합니다.
5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
- 자료형(data type):자료의 형식
- 문자열:문자의 나열. 큰따옴표 혹은 작은따옴표로 입력.
- 이스케이프 문자:문자열 내부에서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문자열
- 문자열 연산자:문자열 연결 연산자(+), 문자열 반복 연산자(*), 문자역 선택 연산자([]), 문자열 범위 선택 연산자([:])
- type():자료형 확인하는 함수
- len():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
02-2 숫자
숫자의 종류
- int(integer):정수
- float(floating point):부동 소수점(실수)
숫자 연산자
- 사칙 연산자:+, -, *, /
- 정수 나누기 연산자://
- 나머지 연산자:%
- 제곱 연산자:**
연산자의 우선순위
TypeError 예외
4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
- 숫자 자료형:소수점이 없는 정수형과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(부동 소수점)이 있다.
- 숫자 연산자:+, -, *, /와 같은 사칙 연산장와 //(정수 나누기 연산자), %(나머지 연산자), **(제곱 연산자)가 있다.
- 연산자 우선순위:곱하기와 나누기가 우선이고, 더하기와 빼기가 다음으로 우선, 잘 모를 때는 괄호를 쳐서 나타낸다.
02-3 변수와 입력
변수 만들기/사용하기
-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
-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법
- 변수를 참조하는 방법
복합 대입 연산자
a += 10
사용자 입력: input()
- input() 함수로 사용자 입력받기
- input() 함수의 입력 자료형
문자열을 숫자로 바꾸기
ValueError 예외
- 숫자가 아닌 것을 숫자로 변환하려고 할 때
- 소수점이 있는 숫자 형식의 문자열을 int() 함수로 변환하려고 할 때
숫자를 문자열로 바꾸기
str()
format(): 02-4
7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
- 변수 선언:변수를 생성하는 것
- 변수 할당:변수에 값을 넣는 것
- 변수 참조:변수에서 값을 꺼내는 것
- input() 함수:명령 프롬프트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
- int() 함수:문자열을 int 자료형으로 변환
- float() 함수:문자열을 float 자료형으로 변환
- str() 함수:숫자를 문자열로 변환
02-4 숫자와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
문자열의 format() 함수
format() 함수로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몇 가지 형태
- "{}".format(10)
- "{} {}".format(10, 20)
IndexError 예외
{} 기호의 개수가 format() 함수의 매개변수 개수보다 많으면 IndexError 예외가 발생한다.
format() 함수의 다양한 기능
정수 출력의 다양한 형태
부동소수점 출력의 다양한 형태
의미 없는 소수점 제거하기
대소문자 바꾸기:upper()와 lower()
문자열 양옆의 공백제거하기:strip()
- strip()
- lstrip()
- rstrip()
- 공백이란 '띄어쓰기', '탭', '줄바꿈'을 모두 포함한다.
- 공백을 제거할 때는 strip 또는 trim을 활용한다.
- lstrip() 함수와 rstrip() 함수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
문자열의 구성 파악하기:is~()
- isalnum()
- isalpha()
- isidentifier()
- isdecimal()
- isdigit()
- isspace()
- islower()
- isupper()
문자열 찾기:find()와 rfind()
- find()
- rfind()
문자열과 in 연산자
문자열 자르기:split()
실행결과로 리스트(list)(4장)가 나온다
7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
- format()함수
- upper()와 lower() 함수
- strip() 함수
- find() 함수
- in 연산자
- split() 함수
'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>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06 예외 처리 (0) | 2024.02.04 |
---|---|
Chapter 05 함수 (0) | 2024.01.24 |
Chatper 04 반복문 (0) | 2024.01.11 |
Chapter 03 조건문 (1) | 2024.01.08 |
Chapter 01 파이썬 시작하기 (1) | 2024.01.07 |